제주 입찰제도
해줌 인사이트 · · 8 분 소요

어려운 입찰제도 용어, 해줌이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제주 입찰제도, 제주 재생에너지가 급증해 생긴 전력 운영 불안정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었는데요.

하루전 시장과 실시간 시장의 이중 구조로 참여가 복잡해, VPP 기술을 보유한 전력중개사업자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여기서, '출력제어', '이중구조', 'VPP', '전력중개사업자' 같은 용어가 등장하고 있는데요. 자주 접하는 단어가 아닌 만큼, 이런 용어로 인해 입찰제도를 이해하고 참여하는 데 진입장벽을 느끼는 발전사업자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해줌이 어려운 입찰제도 용어를 쉽게 풀어드리려고 하니, 끝까지 잘 따라와 주세요!


콘텐츠 내용 요약

1. 제주 입찰제도 관련 용어
(출력제어, 가상발전소 등)

2. 제주 입찰제도 용어
(이중구조, 부가정산금, 임밸런스 페널티 등)

제주 입찰제도 관련 용어

제주 입찰제도

01. 출력제어

제주 태양광 발전사업자라면, 출력제어를 당한적이 있거나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출력제어는 전력 수요와 공급을 안정적으로 맞추기 위해, 발전소의 가동을 줄이거나 멈추도록 명령하는 것을 말합니다.

제주의 경우 최근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급증하며, 전력 공급이 과다해져 출력제어 횟수가 크게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02. 가상발전소(VPP)

가상발전소는(VPP, Virtual Power Plant) 쉽게 말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입니다.

자세히는 다양한 분산 자원을 연결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가상발전소를 통해 에너지 생산 · 저장 · 분배 · 거래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분산 자원 예시로는 태양광 발전소, 풍력 발전소,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있습니다.

03. 전력중개사업자

입찰제도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개인이 혼자 진행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따르게 되는데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전력중개사업자 입니다.

해줌과 같은 전력중개사업자는, 보유한 VPP 기술을 통해 발전사업자가 전력 운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제주 입찰제도 용어

제주 입찰제도

01. 태양광 경매제도

많은 발전사업자분들이 입찰제도를 이야기할 때, '태양광 경매제도', '태양광 입찰경매' 라고도 많이 부르십니다. 이렇게 여러 용어를 섞어 사용하다 보니, 입찰제도 외에 다른 제도가 생긴 건지 혼동하시는 분들도 계셨는데요.

이는 입찰제도의 특징을 반영하여 편의상 부르는 용어로, 정확히는 '제주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혹은 '입찰제도' 라고 부르는 게 맞습니다.

특히, REC 거래와 관련하여 경매제도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 만큼, '입찰제도'라고 부른다면 소통하기에 더 원활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02. 이중구조/이중정산

제주 입찰제도

제주 입찰제도에서는 2가지 시장에서 전력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하루전 시장 그리고 실시간 시장 두 가지인데요.

두 시장에서 전력을 판매해 얻은 수익이 합산되기 때문에, 이중구조이중정산 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하루전 시장과 실시간 시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바로 아래에서 이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2-1. 하루전 시장과 실시간 시장

앞서 설명했듯, 입찰제도는 하루전 시장과 실시간 시장에 전력을 판매하는데요.

하루전 시장 은 다음 날의 발전량을 1시간 단위로 예측한 뒤, 그 발전량을 예측일의 SMP 가격(하루전 SMP)으로 판매하는 시장입니다.

실시간 시장 은 발전량을 15분 단위로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실시간 SMP 가격을 기준으로 전력을 판매하는 시장입니다.

이렇게 입찰제도는 이중구조로 복잡한 편이지만, 외부 환경에 따라 발전량 간헐성이 큰 재생에너지에 더 정확히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03. 부가정산금과 용량정산금

제주 입찰제도

입찰제도에 참여하면, SMP/REC 판매 외의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요.
입찰제도 참여 시, 국가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기여하게 되기 때문에 이런 추가 수익이 주어집니다.

추가 수익으로는 부가정산금(Uplift)과 용량정산금(CP)를 얻게 되는데요.

부가정산금 은 급전지시* 혹은 출력제어를 실제로 받은 경우에 지급받게 됩니다. 발전계획보다 많거나 적게 발전하여 발생하는 비용이나 손실에 대한 보상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용량정산금(용량요금) 은 설비용량에 비례하여 발전소 운영/투자 등에 들어간 비용에 대해 지급받게 되는데요. 발전사업자가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준비하는데 발생한 비용에 대한 보상 개념의 정산금입니다.

*급전지시 : 발전계획 이상으로 많은 전력이 필요해 발전량을 늘려야 할 때, 발전소 추가 가동을 명령하는 것

04. 임밸런스 페널티

제주 입찰제도

발전사업자는 안정적인 계통 운영을 위해, 예측대로 발전량을 맞출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예측 발전량과 실제 발전량 사이의 편차가 허용치 이상이 될 경우, 페널티가 부과되는데요. 이를 '임밸런스 페널티'라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입찰제도 참여 시 태양광 발전사업자는 아래와 같은 구조로 전력 판매에 대한 수익을 정산받게 됩니다.

전력 판매 수익 = 전력량정산금(하루전/실시간 시장) + 부가정산금 + 용량 정산금 - 임밸런스 페널티

지금까지 어려운 입찰제도 용어를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해줌은 태양광 발전량 예측 기술입찰 기술 로 태양광 발전사업주분들의 입찰제도 참여를 돕고 있는데요.
국내 1호 전력중개사업자로서 입찰제도 대응 시스템인 해줌V와 함께, 그간 쌓아온 발전소 운영 노하우발전량 예측 오차를 최소화 하여 페널티를 줄이고 있습니다.

해줌을 통해 입찰제도에 참여하고 싶으시거나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해줌 홈페이지 혹은 전화(02-889-9941)로 문의주시면 친절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공유하기

다음 게시글

대멸종
해줌 인사이트 ·

6차 대멸종은 진행 중, 지구 D-Day 타임라인

6차 대멸종 위기에 놓인 지구, 지구는 현재 사람으로 치면 암 말기 환자의 상태라고 합니다. 소행성 충돌처럼 하루아침에 세상이 무너지는 게 아니라, 마치 초기에 발견하지 못한 암세포가 퍼지듯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악화되고 있죠. 오늘은 해줌과 함께 IPCC 보고서를 참고해, 기후 위기로 인한 지구의 2030년부터 2100년까지의 시나리오를 살펴보겠습니다! ✅콘텐츠

재생에너지 판매 전략
해줌 인사이트 ·

재생에너지 판매 전략 비교 - 현물시장vs RPS 장기계약 vs PPA 장기계약

안녕하세요! 에너지 IT 기업 해줌입니다. 오늘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전력 판매 방식 3가지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 현재 재생에너지 판매는 크게 ① 현물시장 판매 ② RPS 장기계약 ③ PPA 장기계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장단점과 추가 수익 확보 방안까지 함께 살펴보시죠. ✅콘텐츠 내용 요약 1. 현물시장 2. RPS 장기계약 3. PPA 장기계약 4.

2026년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전국 확대, 전력중개사업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해줌 인사이트 ·

2026년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전국 확대, 전력중개사업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2026년, 시장이 변화합니다 재생에너지 급증이라는 흐름에 발맞춰, 내년부터는 제도까지 변화할 예정입니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가 시행되어, 재생에너지의 전력 판매 방식(SMP)이 변화 할 전망이죠. 입찰제도 미참여 시 출력제어 보상도 없기 때문에, 참여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데요.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에는 발전사업자가 기술, 운영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영역의 업무가 많아,

기업서비스

ESG 탄소중립

해줌 이야기

전기요금 관리 전략

5분만 투자하세요
에너지 이슈의 핵심만 짚어드립니다

느깜표 구독 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을 확인하고 동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