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줌 소식 · · 3 분 소요

해줌,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대응 기술력 입증... 평균 오차율 2.6%로 입찰제도 이행능력시험 통과

출력제어
자동 출력제어 시스템 및 알고리즘 고도화로 전년 대비 예측 정확도 약 2%p 개선

2025년 오차율 8%로 강화된 기준에도 2.6% 기록하며 업체 최고 수준 기술력 입증

자체 개발 플랫폼 ‘해줌V’로 24시간 출력제어 대응

 에너지 IT 기업 해줌(대표 권오현)이 전력거래소가 주최한 제주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급전가능재생에너지 2025년도 1차 이행능력시험에서 평균 오차율 2.6%를 기록하며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시험은 재생에너지 발전의 예측 정확성과 출력제어 대응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됐다. 2025년부터는 발전량 예측 허용 오차율이 기존 12%에서 8%로 기준이 더 높아져, 전력중개사업자에게 더 높은 수준의 예측 기술과 빠른 출력제어 대응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해줌은 입찰제도 전력중개사업자 중 가장 많은 태양광 자원을 운영하며 쌓아온 데이터를 활용하여, 평균 오차율 2.6%이라는 우수한 성적으로 시험을 통과했다. 

 해줌은 이번 시험을 통해 ▲정밀하고 유연한 예측 기술, ▲신속한 출력제어 대응 역량을 입증하는 동시에 ▲급변하는 전력시장에서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운영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해줌은 평균 오차율 5% 이내였던 2024년 이행능력시험 결과 대비 약 2%p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성과는 해줌이 ▲자체 이행능력시험 시스템 구축, ▲자동 출력제어 시스템 고도화, ▲ 발전량 예측 알고리즘 개선 등 지속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해줌V’ 플랫폼에 적용해 대응 역량을 대폭 향상시킨 결과다.

 또한, 해줌은 원격제어 기반의 가상발전소(VPP) 운영 플랫폼 ‘해줌V’를 활용하여 발전소 운영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고, 발전사업자의 편의성과 수익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해줌V’는 24시간 발전소 운영 관제 및 실시간 이슈 알림을 통해 신속한 출력제어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자동입찰 및 제어 시스템을 통해 원격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해줌 권오현 대표는 “입찰제도에서 가장 많은 태양광 자원을 운영하면서 더 많은 데이터를 활용해 알고리즘과 플랫폼을 고도화할 수 있었고, 이번 시험으로 해줌이 보유한 출력제어 대응 관련 기술력을 입증할 수 있었다”며, “해줌은 앞으로도 입찰제도에서 가장 전문적인 기술력, 플랫폼, 관리 체계를 구축해 선도적 입지를 확고히 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해줌은 출력제어 대응을 위한 안내서를 제공하여 발전사업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s://www.haezoom.com/promotion/49) 또는 전화(02-889-9941)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

공유하기

다음 게시글

전기차충전사업자
해줌 인사이트 ·

전기차 충전소로 돈 더 벌 수 있다고? 전기차충전사업자가 알아야 할 핵심 전략!

작년부터 전기차 시장이 일시적으로 후퇴하는 '캐즘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기차충전사업자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런데, 이런 상황 속에서도 해줌을 통해 추가 수익을 만들어내고 있는 전기차충전사업자 가 있다는 사실! 추가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이유는 설치된 전기차 충전소를 국가 전력계통 상황에 따라 기여하는 '수요VPP'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해줌 인사이트 · 추천 게시글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쉽게 이해하기 - 사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변화

재생에너지가 많아질수록 오히려 어려워지는 운영?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가 늘어나는 건 좋은 일 아닐까요? 맞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에너지원들은 ‘예측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변하니까요. 예측이 어려운 에너지원들이 많이 유입될수록 전력망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제주도에서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지면서 '출력제어'라는 상황이 자주 생기고 있습니다.

태양광 양면형 모듈
에너지 소식 ·

태양광 양면형 모듈, 9월 20일 KS 기준 전면 변경 내용 정리 (BNPI)

태양광 발전사업 시장에서, 최근 태양광 양면형 모듈의 KS 인증 기준이 변경 되는 것이 큰 이슈인데요. 다가오는 9월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어, 많은 사업자분들이 걱정하시는 것 같습니다. 어떤 내용이고, 어떤 문제점이 제기되었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책은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까지 함께 살펴보시죠! ✅ 콘텐츠 내용 요약 1. BNPI 개념, 도입 배경 2. 기존

기업서비스

ESG 탄소중립

해줌 이야기

전기요금 관리 전략

5분만 투자하세요
에너지 이슈의 핵심만 짚어드립니다

느깜표 구독 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을 확인하고 동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