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줌 인사이트 · · 11 분 소요

전기차 충전소로 돈 더 벌 수 있다고? 전기차충전사업자가 알아야 할 핵심 전략!

전기차충전사업자

작년부터 전기차 시장이 일시적으로 후퇴하는 '캐즘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기차충전사업자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런데, 이런 상황 속에서도 해줌을 통해 추가 수익을 만들어내고 있는 전기차충전사업자 가 있다는 사실!

추가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이유는 설치된 전기차 충전소를 국가 전력계통 상황에 따라 기여하는 '수요VPP'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수요VPP란 무엇이고, 추가 수익이 발생하는 원리는 무엇인지, 참여 사례까지 한 번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캐즘(Chasm) : 새로운 제품/서비스가 초기 시장에서 대중 시장으로 넘어갈 때 수요가 일시적으로 정체/후퇴하는 현상

수요VPP 내용 요약

1. 수요VPP란?
2. 추가 수익을 만드는 국민DR
3. 전기차 충전소 국민DR 사례
4. 전기차 충전소 전망

1. 수요VPP란 무엇인가?

✅VPP와 수요VPP 개념

전기차충전사업자
VPP란?

VPP는 Virtual Power Plant의 약자로 가상발전소를 의미합니다. 다양한 발전 설비를 모집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 하는 개념이에요.

그렇다면 수요VPP란?

그렇다면, 여기에 수요라는 단어가 추가된 '수요VPP'는 무엇일까요?

수요VPP전기를 소비하는 수요단의 전력 사용을 조절해 마치 발전소처럼 운영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기차 충전소와 수요VPP

최근 전기차 시장이 잠시 정체되었지만, 향후 전기차가 증가하면 이에 비례해 전기차 충전소도 증가 하게 될텐데요.

이는 전력 계통을 운영하는 입장(국가)에서는 ①전기 수요가 늘어나고, ②충전소의 사용량을 예측/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력 계통 운영에 리스크가 더 생길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수도권에 거주 인구가 집중되어 전기차 충전소가 수도권에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에 따라 여름/겨울철 전력 피크 시기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정전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전국에 분산된 전기차 충전소를 자원화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수요VPP를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2. 전기차충전사업자 추가 수익 창출 방법?

전기차충전소를 수요VPP 자원으로 운영하면, 전력계통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가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데요. 이를 위해서는 국민DR 에 참여해야 합니다.

✅국민DR이란?

전기차충전사업자

국민DR이란 주택, 상업시설, 전기차 충전소와 같이 전력을 소비하는 수요단에서 전력을 감축하고 이에 대한 보상금을 받는 제도 입니다.

✅전기차충전사업자 국민DR 참여 조건

전기차충전사업자

전기차 충전소가 국민 DR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여 조건]

(1) 한전 계약전력 200kW 이하
(2) 한전 원격검침기(AMI) 설치
(3) 원격 충전량 제어 가능한 충전기로 구성된 전기차 충전소

전기차 충전소는 전기차에 충전한 전력량만큼 한전에 요금을 납부하기 위해, 원격검침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7kW 완속 충전기로 구성된 전기차 충전소는 한전 계약전력이 대부분 200kW 이하입니다.

즉, 7kW 완속 충전기로 구성된 전기차 충전소라면 국민 DR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충전사업자 국민DR 프로세스

전기차충전사업자

전기차 충전소가 수요VPP로 구성되어 국민DR에 참여하게 된다면, '충전량 제어를 통해 국가 전력계통에 기여'하게 됩니다.

충전량이 제어되는 케이스를 간단히 짚어보면, ① 3개 이상의 권역이 미세먼지 나쁨 등급 이상인 경우 ②운영 예비력이 6,500MW 미만으로 예상되는 경우 등이 대표적입니다.

✅국민DR 보상금

전기차충전사업자

국민DR에 참여하여 충전량을 제어했다면, 전력계통에 기여한 것이므로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보상금'을 받게 되는데요. 보상금 산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상금 = 충전 제어량(전력 감축량) X 약 1,600원

만약 7kW로 충전 중이던 전기차 충전기를 3kW로 낮추는 경우, 충전 제어량은 4kW로 산정됩니다. 따라서, 약 6,400원(4kW X 1,600원)의 보상금을 받게 됩니다.

위와 같이 충전량 제어 1회당 6,400원의 수익이 발생하는데요.
만약 전기차 충전소가 충전기 5기로 구성되어 있다면, 그 5배인 32,000원의 수익을 기대 할 수 있습니다.


3. 전기차충전사업자 국민DR 참여 사례

전기차충전사업자

해줌과 함께 국민DR에 참여 중인 전기차 충전소가 굉장히 많은데요.

국민DR 전체 참여 고객의 약 37%가 해줌을 통해 참여 중 이며, 이는 전체 전력 감축량의 21%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민DR 운영 사업자가 16개인 점을 고려했을 때, 해줌과 함께 국민DR에 참여하는 전기차 충전사업자의 시장 참여 비중이 매우 높다는 것이죠. (2025년 3월 실적 기준)

그렇다면, 해줌과 국민DR에 참여 중인 전기차 충전사업자 G사의 참여 사례를 통해 실제 수익을 확인해보시죠!

💡[해줌과 함께 국민DR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 정리!]

1. 국민DR에 참여 고객은 점유율 약 37%
2. 국내 전기차 충전소를 가장 많이 보유한 사업자와 국민DR 진행
3.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국민DR 운영

✅전기차충전사업 G사 국민DR 참여 사례

G사는 1,000개의 전기차 충전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줌을 통해 국민DR에 참여하고 있는 전기차 충전사업자입니다.

전기차충전사업자

G사의 1기당 제어를 통한 전력 감축량은 0.124kWh이었습니다. 또한, 24년 국민DR 발령 횟수는 53회, 정산금 단가 평균 1,690원이었는데요. 수익을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G사 보상금 = (0.124kWh X 1,690원) X 1,000(기) X 53(회)

즉, 연간 약 1,100만 원의 추가 수익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축량이 생각보다 적은 것 같아요

전력 감축량고객기준과부하(CBL)*에 따라 결정됩니다.

전기차충전사업자
전력 감축량 = 고객기준과부하(CBL) - 전력 사용량

이때, 고객기준과부하란?
전력 감축량 산정 시점을 기준으로, 평일 과거 10일 치 전력 사용량에서 가장 큰 사용량과 가장 작은 사용량을 제외한 나머지 8일 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을 말합니다. 조금 어려운 개념이지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전기차충전사업자
CBL = (평일 과거 10일 치 전력 사용량 - 가장 큰 사용량 - 가장 작은 사용량)/8

즉, 국민DR에 참여하여 충전량을 제어해도, 과거 10일 동안 전기차를 충전한 전력량이 적다면 CBL이 0에 가까워져 전력 감축량과 정산금이 적어질 수 있는 거죠.

지금은 시장이 일시적으로 정체되어 전력 감축량이 적을 수 있지만, 향후 전기차가 증가하여 전기차 충전소 이용률이 증가한다면 이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렇게 전력 감축량이 없더라도, 해줌과 함께 국민DR에 참여하는 전기차 충전소에는 전혀 불이익이 없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고객기준과부하(CBL) : 수요반응 시행 직전의 일정 기간 동안의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가중 평균하여 수요반응으로 감축한 전력량을 계산하는 기준


4. 향후 전기차 충전소와 수요VPP 방향성

향후 전기차 시장이 다시 활성화 되면, 전기차 충전소의 개소 수와 이용률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측됩니다.

즉, 전기차 충전소가 전력 계통에 미치는 영향은 더 커질테고, 국민DR에 참여하여 수요VPP 자원으로서 계통에 기여할 수밖에 없겠죠.

즉, 전기차 충전사업자는 기존에 설치된 충전기를 해줌을 통해 국민 DR 자원으로 활용하여, 더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국민DR에 참여하는 전체 고객의 약 37%가 해줌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추가 수익을 원하는 전기차 충전사업자라면, 해줌 홈페이지 혹은 전화(02-889-9941)로 연락주세요!


태양광 시장 소식, 한 달에 1번 5분으로 투자로 끝!

최신 태양광 트렌드부터 SMP/REC 동향, RE100 소식까지 빠르게 알고 싶다면? 해줌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공유하기

다음 게시글

태양광 발전 사업
해줌 인사이트 ·

태양광 발전 사업 가이드, 투자 비용부터 수익금까지!

현재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재생에너지 확대 추세로 인해 신재생에너지가 주목받으며 태양광 발전 사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탄소 중립 목표를 위해 많은 국가에서도 태양광 발전과 재생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죠. 그래서 태양광 발전 사업을 시작하려는 분들이 궁금해하는 것은 결국 수익인데요. 자주 궁금해하시는 "그래서 얼마 벌 수 있는 건데?"

그린리모델링
해줌 인사이트 ·

그린 리모델링으로 창호부터 태양광까지! 정부 지원인데 집값도 올라간다?

온실가스도 줄이고 냉·난방비도 줄이는 똑똑한 리모델링이 있습니다. 바로 그린 리모델링 인데요! 겉모습만 바꾸는 리모델링이 아닌, 에너지 효율을 높이도록 업그레이드하는 이 방식은 요즘처럼 전기 요금도 부담되고, 환경 문제까지 신경 써야 하는 시대엔 더더욱 눈길이 가는 방법이죠.  정부의 지원으로 비용 부담까지 덜어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 해줌이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콘텐츠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해줌 인사이트 · 추천 게시글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쉽게 이해하기 - 사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변화

재생에너지가 많아질수록 오히려 어려워지는 운영?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가 늘어나는 건 좋은 일 아닐까요? 맞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에너지원들은 ‘예측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변하니까요. 예측이 어려운 에너지원들이 많이 유입될수록 전력망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제주도에서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지면서 '출력제어'라는 상황이 자주 생기고 있습니다.

기업서비스

ESG 탄소중립

해줌 이야기

전기요금 관리 전략

5분만 투자하세요
에너지 이슈의 핵심만 짚어드립니다

느깜표 구독 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을 확인하고 동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