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줌 인사이트 · · 6 분 소요

[완벽정리] 태양광 SMP 판매 방식이 바뀐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대응 가이드

[완벽정리] 태양광 SMP 판매 방식이 바뀐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대응 가이드

안녕하세요. 에너지 IT 기업 해줌입니다! 최근 저희 해줌에서 태양광 발전사업자 약 600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요. 설문 결과, 응답자의 90% 이상이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에 대해 잘 모른다 고 답변하신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내용, 태양광 발전사업자라면 반드시! 알아야하는 내용인데요.

'SMP 판매 방식이 바뀐다' 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 해줌이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의 핵심을 먼저 요약한 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대응 가이드>를 드리려고 합니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가 무엇인지 잘 모르신다면 꼭! 확인해 보세요.

콘텐츠 내용 요약

1 . (필독)핵심 내용 요약
2.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대응 가이드
- 배경
- 용어 정리
- Q&A
- 참여 후기
- 해줌 서비스

01.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핵심 요약

💥전력 판매 방식이 바뀐다(SMP)

전량 판매 → 입찰 방식으로

현재 재생에너지는 생산량 전량을 판매할 수 있는 상황인데요. 앞으로는 '재생에너지 입찰제도'가 도입되어 전력 판매 방식이 바뀔 예정입니다.

재생에너지도 원자력, 화력 등의 다른 발전원과 동일하게, 입찰 진행 → 낙찰 → 낙찰량 만큼 생산/판매 가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는 현재 제주 시범사업 중이며, 향후 육지까지 적용될 예정입니다.

💥발전사업자 입장에서 바뀌는 것

1. 판매 구조가 바뀝니다. (전량 판매 → 시장 논리에 따른 입찰)
2. 수익 구조가 바뀝니다. (보상 체계 적용, 초과 발전 시 패널티 등)
- 판매 구조

전력 판매 구조는 앞서 간략히 설명드렸듯, 기존의 전량 판매에서 시장 논리에 따른 입찰 방식으로 변경되는데요.

자세한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발전 가능량(예측)과 판매 희망 가격 입력
② 낙찰되면 해당 시간대 전기를 공급
③ 초과/부족분은 실시간 시장에서 다시 정산

- 수익 구조

수익 구조의 경우 보상 체계가 적용되며, 초과 발전 시 패널티가 발생하는 등의 변화가 생깁니다.

출력제어 상황에서도 전력 판매 가능 (시장 논리에 따라 판매하므로)
보상 체계 (원자력/화력 등의 기존 발전소와 동등한 보상 체계)
출력제어에 대한 보상 지급
④ 예측 초과 발전 시 패널티


02.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대응 가이드

✅[배경] 재생에너지 SMP 판매 방식이 바뀐다?

✅용어 정리

✅Q&A

✅실제 참여 후기

✅해줌 제공 서비스


지금까지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핵심 내용을 정리하고, 대응 가이드까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더 궁금한 내용이나 입찰제도 참여 문의해줌 홈페이지 혹은 전화(02-889-9941)로 연락주세요!


태양광 시장 소식, 한 달에 1번 5분으로 투자로 끝!

최신 태양광 트렌드부터 SMP/REC 동향, RE100 소식까지 빠르게 알고 싶다면? 해줌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공유하기

다음 게시글

2026년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전국 확대, 전력중개사업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해줌 인사이트 ·

2026년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전국 확대, 전력중개사업자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2026년, 시장이 변화합니다 재생에너지 급증이라는 흐름에 발맞춰, 내년부터는 제도까지 변화할 예정입니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가 시행되어, 재생에너지의 전력 판매 방식(SMP)이 변화 할 전망이죠. 입찰제도 미참여 시 출력제어 보상도 없기 때문에, 참여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데요.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에는 발전사업자가 기술, 운영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영역의 업무가 많아,

REC
해줌 인사이트 ·

RPS 제도·REC·SMP, 태양광 발전 사업 핵심 개념 총정리

태양광 발전사업의 주요 수입원에는 SMP와 REC가 있습니다. SMP는 쉽게 말해 전력을 판매할 때 받는 가격이고, REC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증명하는 인증서인데요. 오늘은 해줌이 이 두 가지가 무엇인지, RPS제도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콘텐츠 내용 요약 1. RPS 제도 2. REC 3. SMP 4.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01. RPS 제도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인 REC. 이름만 들어서는

SMP 가격
해줌 인사이트 ·

SMP 가격이 마이너스? 전력 가격, 왜 이렇게 책정될까?

전력시장에서 SMP 가격(계통한계가격)이 마이너스(-)로 형성되는 것, 보신 적 있으신가요? SMP는 발전사가 전기를 생산해 판매할 때 받는 대금으로, 전력 수요에 따라 시간대별로 산정됩니다. 태양광/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 역시 동일한 SMP를 적용받죠. 그런데 이 SMP 가격이 가끔 마이너스가 되기도 합니다. 다소 생소할 수 있는데요. SMP 가격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기업서비스

ESG 탄소중립

해줌 이야기

전기요금 관리 전략

5분만 투자하세요
에너지 이슈의 핵심만 짚어드립니다

느깜표 구독 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을 확인하고 동의함